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 |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참고작품 비교 |
구리로 만들어 도금한 삼국시대의 불상. 높이 80 cm. 국보 제7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삼국시대에 유행한 반가사유 형식의 불상 중 가장 대표적인 불상으로, 오묘한 표정과 옷의 무늬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얼굴이 풍만하고 눈꼬리가 약간 올라갔으며, 입가에는 신비로운 미소를 띠었다. 복잡한 관을 쓴 머리에서 내려오는 두 가닥의 드리개가 머리카락과 함께 어깨까지 늘어졌다. 가슴 앞에 짧은 장식이 있고, 두 어깨를 덮은 의복은 날개처럼 옆으로 퍼지면서 앞면으로 늘어져 무릎 위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다. 나선형인 상반신과 가는 허리가 신라불상의 전형을 보여준다. 두 팔에는 팔찌를 끼었고, 왼손은 반가한 오른발을 잡고 있으며,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에 팔꿈치를 얹고 손가락을 볼에 대어 사유하는 상을 나타내었다. 왼발은 밑으로 늘어뜨려 단판 연화좌(單瓣蓮華座)를 밟고 있다. 하반신에 걸친 상의는 배 앞에서 매듭을 지어 내려오면서 도식화된 옷주름을 가늘게 표현하였고, 왼쪽에 1가닥의 끈이 드리워졌다. 뒷머리 부분의 흔적으로 보아 원래 광배(光背)가 있었던 것 같다. 균제된 자세, 명상에 잠긴 오묘한 모습, 우아하고 화려한 옷무늬 등이 뛰어나다. 이 불상은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코발트 60의 방사선을 투과, 촬영한 결과, 7~8세기경 머리 부분과 몸체 부분을 따로 주조한 다음 연결, 용접하여 만들어졌음이 확인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