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작품 감상법
미술감상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시겠다구요? 여기에서 궁금증을 해결해 보세요.
야구를 하는 사람이 있으면 야구를 보고 즐기는 사람이 있고, 연극을 하는 배우가 있으면 그 연극을 보고 느끼는 관객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미술도 미술작품을 창작하는 사람과 그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이 있죠. 생각해 보면 우리 주변에는 실제로 그림은 전혀 못 그리지만 감상하는 안목이 매우 높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미술을 즐기는 사람도 있고, 다른 사람이 이루어 놓은 그림을 감상하면서 미술을 즐기는 사람도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미술작품을 만드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미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야 미술가의 의욕을 북돋워 좋은 작품이 만들어질 수 있고, 감상자도 좋은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여러분은 단순히 표현을 못 한다고 해서 미술 공부를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감상자의 역할도 화가의 역할만큼이나 중요하지요. <미술작품 감상법>
1.단독감상법: 한 작품을 집중적으로 감상하는 방법
2.비교감상법: 두 가지 이상의 작품을 서로 비교해가면서 감상하는 방법 -두 작품에서 기법과 주제를 서로 다르게 했을 경우 상상하기 (예:인상주의 작품의 특징 알아보기-색채의 명쾌함, 주제의 다양함, 경쾌한 붓터치)
3.분석감상법: 구체적으로 작품을 분석해서 각 요소들의 특성을 알아보는 방법
-구도분석 4.종합감상법: 직관적인 감상이라고도 한다. 즉 작품을 보고 바로바로 느껴지는 것들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작품과 감상자가 직접적인 감동으로 연결되는 것이다.이 감상은 위에서 설명한 단독감상,비교감상,분석감상과 항상 연결지어져서 감상을 하는 초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감상법을 활용해서 친구들끼리 작품에 대해서 토론도 하고, 감상한 내용들을 글로 적어보는 활동을 한다면 훨씬 더 재미있는 감상의 세계로 빠져들 수 있습니다. <감상할 때 유의할 점>
조형 작품이건 자연이건 사랑하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형태를 찾기보다는 작품의 전체적인 느낌을 먼저 얻고, 그 조형적 질서를 찾아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무엇보다 자기 스스로 의문을 떠올리고 생각해야 합니다. 즉 작품과의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째서 이 색을 썼을까? 왜 이렇게 격력히 칠했을까? 이 구도는 왜 이 주제와 어울리는 것일까? 주제는 이 작가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작가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작품과 대화를 시작할 때, 감상자는 서서히 작가의 정신에 가까이 접근해 갈 수 있습니다.
수시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작품을 비교 감상하다 보면 좋은 작품을 구별할 수 있는 안목이 어느 정도 생깁니다.
많이 알려져 있는 고대의 작품부터 시작해서 현대 미술로 접근하는 것이 좋고,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간략한 미술 이론이나 작가들의 전기 소설을 읽어 나가면 큰 도움이 됩니다. 예술품은 지나치게 과학적, 분석적, 지적으로 접근하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늘 편안하고 담담한 마음으로 작품을 만나고, 마음으로 대화를 해서 느낌을 얻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이와 같은 느낌이 점차 축적되어 마음의 눈이 활짝 열리게 되고 이해를 통한 즐거움을 얻게 되어 미술의 훌륭한 동반자가 되는 것이지요. |
자료의 출처 http://my.dreamwiz.com/keojounghe/art/d-p/dp-1.htm